지난 7일 정부의 '9·7 부동산 대책' 발표 직후, 은행권이 대출 시스템 개편에 들어가면서 일부 창구에서 접수를 일시 중단했다.
시중 은행들은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규제가 강화되자 비대면 채널부터 조정에 나섰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어제 오전부터 비대면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을 중단했다. 하나은행도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접수를 받지 않고 있다. KB국민은행은 대면창구에서 규제지역 내 주택매매, 임대사업자 대출 중 일부를 일시 제한했으나, 비대면 신청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NH농협은행과 우리은행은 현재까지 비대면 접수를 유지하고 있다.
은행권의 일시적 대출 중단은 정부의 대책 적용을 위한 전산 반영 작업 때문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전산에 새 규정을 반영하려면 최소 일주일이 걸린다"고 말했다. 국민은행은 "대면 대출은 즉시 접수해야 하는 구조라 일시적으로 차단했다"며 "빠른 시일 내 정상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가 지난 7일 내놓은 부동산 대책은 공급 확대와 수요 억제 대책이 함께 나왔다. 이번 대책은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중심의 신규 공급이 중점이다.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관계 부처는 2030년까지 매년 27만가구, 총 135만가구 규모의 새 주택 착공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수요 억제를 위한 대출 규제는 대폭 강화됐다. 수도권 및 규제 지역에서 주택 매매, 임대사업자의 주담대가 전면 금지됐으며, 규제 지역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기존 50%에서 40%로 축소됐다. 또한 1주택자가 수도권·규제지역에서 전세대출을 이용하는 경우 한도가 2억원으로 제한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이번 대책을 두고 "공급 확대와 수요 억제를 동시에 추진하는 정책"이라며 "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공급 대책이 빠르게 실행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