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PEXLES

극심한 소비 침체 속 주요 식품 가격까지 잇따라 오르면서 근거리 식료품 특화 채널인 대형 슈퍼마켓(SSM)이 큰 부진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의 1~4월 유통업 매출 동향 자료를 보면 4대 오프라인 유통 채널인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SSM 가운데 유일하게 SSM만 고객 1인당 구매액과 점포당 매출이 모두 줄었다. 해당 기간 SSM의 월평균 1인당 구매액은 1만7193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7408원)에 비해 1.2% 감소했다. 점포당 월평균 매출액은 3억4500만원으로 지난해(3억6000만원)보다 3% 감소했다.

업태가 가장 유사한 대형마트는 점포당 매출액 증가율이 0%로 정체했으나, 해당 기간 구매액이 0.6% 소폭 상승해 역성장은 면했다.

1인당 구매액 상승률은 백화점(4.1%), 편의점(2.3%) 순으로 높았다.

SSM의 부진은 실적에서도 드러났다.

롯데슈퍼의 올해 1분기 매출은 3052억원으로 전년 동기(3287억원) 대비 7.2% 줄었고, 영업이익은 120억원에서 32억원에서 무려 73.3% 감소했다. 최근 4년간 점포 수가 꾸준히 늘고 있는 GS더프레시는 같은 기간 매출이 9.2%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21.2% 감소해 오히려 수익성이 악화됐다.

그동안 SSM은 '집에서 가까운 식료품 특화 매장' 전략으로 대형마트와 편의점 사이의 틈새를 공략했다.

하지만 식품 고물가 여파로 SSM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식품의 소비가 줄어들며 역성장을 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산업부의 유통업 매출 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 4월 기준 SSM 전체 매출에서 식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92.5%로 대형마트(69.8%)나 편의점(55.7%), 백화점(12.5%) 등에 비해 월등히 높다. 이는 식품 소비가 줄면 매출이 빠지는 구조다.

식품 소비 감소 이면에는 소비침체 속 주요 식품 가격 상승으로 인해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커진 탓도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소비자 물가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1% 오르는 동안 식품 물가는 3.5%나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