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PIXABAY

인도의 미사일 공격에 파키스탄에서 어린이 포함 8명이 사망하자, 파키스탄이 즉각 반격했다. 지난달 인도 총기 테러 사건으로 양국 간 군사 갈등이 격화되면서 국제사회는 비공인 핵보유국인 양국의 확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7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파키스탄이 장악한 카슈미르 지역 내 9곳을 공격하는 '신두르 작전'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이날 파키스탄령 카슈미르와 펀자브주 등 6곳에 인도군이 미사일을 발사해 어린이를 포함한 8명이 사망하고 35명이 부상을 입었다.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주민인 모하메드 와히드는 "수십명이 다쳐 병원으로 실려갔다"며 "아이들은 울면서 공포에 떨고 있다. 불안감이 극에 달했다"고 BBC에 호소했다.

이후 파키스탄은 즉시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인도에 보복하겠다'고 밝혔다.

인도 군·경찰에 따르면 파키스탄은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에 보복성 미사일 포격을 가해 중상자 1명을 포함한 2명이 다쳤다. 또한 지난 6일과 7일 밤 동안 파키스탄군이 사실상 국경선인 LoC(실질통제선) 너머 지역에 포격을 가해 민간인 3명이 목숨을 잃기도 했다.

파키스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펀자브주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휴교령을 내렸다.

현재까지도 카슈미르 지역 휴전선 전반에 걸쳐 양측의 공습이 계속되자, 국제사회는 비공인 핵보유국인 양국의 확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스테판 두자릭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은 성명에서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LoC와 국경을 넘어서는 인도의 군사작전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며 "양국 모두에 군사적 자제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22일 인도와 파키스탄 분쟁지인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 휴양지 파할감 인근에서 관광객 등을 상대로 한 총기 테러가 발생해 26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다쳤다.

인도는 파키스탄을 테러 배후로 지목하고 군사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인도 내 파키스탄인 비자를 취소하고 파키스탄과 상품 수입·선박 입항·우편 교환을 금지하는 등 제재에 나서자, 파키스탄은 이를 부인하며 인도 항공기의 영공 진입 금지, 무역 중단과 인도인 비자 취소 등으로 맞섰다.